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드웨어_SToRY

[03]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란?

by MERO.MI 2020. 3. 3.
반응형

 

- EMC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 전자기파 적합성

- 다른 기기에 전자 방해를 주지 않고, 다른 기기로부터 전자 방해를 받아도 본래의 성능을 유지하는 것

 

■ Capabilities and Applications

- EMS Standard Test : IEC61000-4-4(Max. 8kV), IEC61000-4-5(Max.10kV), IEC61000-4-11

- ESD Standard Test :

  IEC61000-4-2, SAE STD J1211/J1113, JASO D001-94, MIL STD883, JESD22-A114, JESD22-A115(Max.30kV)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 Scanning(Max. Frequency 3GHz)

- High-Frequency Structure and Transient signal analysis : PCB analysis, Antenna/Radiation/Field Simulation,

  Device/Circuit Design, EMI/EMC analysis

저는 모바일 제품 HW개발을 해보았기 때문에 CE, RE, CS, RS, ESD 모둘 디버깅 및 측정을 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솔직히 수도 없이 밤을 새어가면서 측정했었었죠.. 

예를 들어서 CS의 경우 충전기(TA)을 통해서 NOISE를 보내주고, EAR-MIC를 통해서 NOISE를 측정하였으며,

RS의 경우도 방사되는 NOISE가 EAR-MIC를 통해서 얼나마 검출이 되는지 보았습니다.

 

제가 AUDIO HW개발을 담당했을 때에는

이런 CS나 RS가 EAR-MIC를 통해서 NOISE를 검출하기 때문에 이 규격에 경우 AUDIO 담당자가 측정하고 디버깅을

주로하게 되었습니다. 이건 모두의 문제이지 AUDIO의 문제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말이죠...

RE의 경우 모바일의 Test condition이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측정하기 때문에 영상 HW개발 담당자가 F/UP을 합니다.

CE는 그나마 NG가 잘나지 않는 분야라서 돌아가면서 F/UP했었습니다.

 

보통 NOISE가 검출이되면 NOISE의 주파수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그 NOISE 주파수를 GND로 빼내어 줄 수 있는 Capacitor를 shunt로 연결을 합니다. 

Capacitor마다 값의 따라 주파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spec sheet를 확인해서 주파수 특성에 맞게 연결해주면 되는데

솔직히 생각처럼 noise가 잘 잡히지 않습니다. 그러면 그 때부터 노가다를 해야합니다.

이 값 저 값 모두 다 연결해서 noise가 효과적으로 잡힐 때까지 납땜을 하고 Test를 해야합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모든 값의 Capacitor 샘플이 없을 뿐더러, 본인의 회사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capacitor의 value 및 업체가 있기 때문에 아무 Capacitor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미리 잘 준비해서 Test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 이지만 EMC 디버깅을 위해서 AUDIO라인에 DNI로 Capacitor 자리 2개쯤은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겠죠? GND도 짱짱하게 연결해야 하구요. 이론적으로는 완벽하게 준비해도 문제가 생기는 것이 EMC 입니다. 그래서 너무 너무 힘든 개발 업무 중에 하나입니다...

 

 

※ 참고 SITE : https://techweb.rohm.co.kr/knowledge/emc/s-emc/01-s-emc/6347

※ 참고 SITE : https://www.keti.re.kr/reliability/evaluation/evaluation02.php

 

 

반응형

댓글